(23년 8월 최신)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주제/지원금 총정리

(23년 8월 최신)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by ITsan! 2023. 8.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들을 위한 특별한 정부 정책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미래를 위해 자산을 형성하고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의 정책 금융상품입니다. 만 19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들이 가입 대상으로, 5년(60개월) 동안 매월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가입 조건은 무엇인가요?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가입 조건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 조건은 나이로, 19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들이 해당됩니다. 두 번째 조건은 소득으로,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에 해당됩니다. 단,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가구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 180% 이하일 경우에도 가입할 수 있으며,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전 연도 소득을 기준으로 인정됩니다.

신청 기간과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2023년 8월 1일부터 8월 11일까지 11개 은행 어플을 통해서 또는 은행 방문을 통해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은행별로 금리 차이가 조금씩 있으니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은행을 선택하여 신청해 보세요. 가입은 한 사람당 1개의 계좌만 가능하며, 이미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중인 경우에는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할 수 없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 가입할 수 있는 은행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농협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부산은행, IBK기업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입니다!

 

*각 은행별로 금리 차이가 조금씩 있으니 아래 사진을 참고 바랍니다.

어떤 혜택을 누릴 수 있나요?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매우 매력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먼저, 매월 납입한 금액에 따라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이 지원됩니다. 가입자의 소득에 따라 지원하는 비율이 달라집니다. 또한,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정부기여금 이자와 비과세 혜택까지 더해지는 혜택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가입자들은 매년 자산을 쌓아가는데 큰 도움을 받게 됩니다.

 

저소득층 청년들에게는 어떤 혜택이 있나요?

저소득층 청년들에게는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가 제공되어 경제적으로 더욱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 자신의 소득과 가구원 수에 맞춰 자산을 쌓아갈 수 있다는 것은 저소득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가입 시 주의해야 할 사항도 있습니다.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전 과세기간의 소득 기준으로 가입하게 됩니다. 하지만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어 기준에 맞지 않을 경우,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거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여부로 확인이 되면 납입이 중지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부 정책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소득과 상황에 맞게 신청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치며

이렇게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자산 형성을 위한 적금상품으로, 매월 일정한 금액을 납입하면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여러분도 자신에게 맞는 '청년도약계좌'를 찾아보고,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워보는 것은 어떨까요? 활용해 보면 미래에 대한 더 큰 가능성이 열릴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미래를 응원합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