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안심보육프로그램"은 맞벌이 가정, 한부모 가정, 장애부모 가정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육아 공백을 겪는 가정에 안심과 지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서울시의 노력으로 아이 돌봄을 필요로 하는 가정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추진되며, 다양한 서비스와 지원을 통해 더 안전하고 편안한 육아 환경을 조성합니다. 이 글에서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대상, 신청 방법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서울형 아이 돌봄비 지원 (서울시 보육비 지원) 프로그램 개요
서울시는 다양한 가정에 안심과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서울안심보육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서울형 아이 돌봄비 지원'은 서울에 거주하는 맞벌이 가정, 한부모 가정, 장애부모 가정 등 다양한 이유로 육아 공백을 겪고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합니다.
대상 및 소득 자격
이 프로그램은 생후 24~36개월의 영유아를 양육하는 가정을 대상으로 합니다. 중위 소득이 표준 소득 컷오프의 최대 150%인 가정이 해당 프로그램의 대상 자격을 갖게 됩니다.
지원 내용
● 조부모 및 친척 포함한 양육자 지원
● 정부 인가 기관의 민간 보육 서비스 재정 지원
● 지원 금액은 영유아의 수와 양육 시간에 따라 상이하며, 정식 보육을 이용하는 가정은 중복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지원 절차
가족은 "몽땅 정보만능키" 포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로는 보육 서비스에 대한 사회 보장 혜택 결정 통지, 조부모나 친척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가족관계증명서, 양육비 지원을 받기 위한 은행계좌 정보가 필요합니다.
시행 예정일
이 프로그램은 2023년 9월에 착공할 예정입니다.
연락처
육아지원담당관: 02-2133-4808, 4812
2. 틈새보육 SOS서비스 (긴급보육서비스)
1. 단기아이 일시 돌봄・병원동행 서비스 (응급병아보육 및 병원동행 서비스)
대상
6세에서 12세 사이의 어린이 중 질병 중이거나 병원 동반 시 일시적인 보호가 필요한 경우 해당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 내용
● 병원 동반: 센터 내에서 편안한 휴식 환경을 제공하거나 아동을 병원까지 동반
● 병상 돌봄: 센터가 지정한 지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돌봄 서비스
수수료
● 병상요양 :회당 2,500원
● 병원 동반: 무료(의료비 및 투약비는 지원되지 않음)
신청 방법
예약은 "우리 동네키움포털"을 통해 온라인으로 할 수 있습니다.
https://icare.seoul.go.kr/icare/index.do
연락처
육아지원담당관: 02-2133-4815
2. 아츠아이 전담 아이돌보미운영 (아픈 아이들을 위한 전담 간병인)
대상
12세 미만의 어린이 중 정기적인 진료와 모니터링이 필요한 비전염성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해당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 내용
전담 간병인이 아동을 병원까지 동반하여 가정 내 간호를 제공합니다.
수수료
● 기본 요금제: 11,080원
● 종합 플랜: 14,400원
● 저소득 가정은 정부 지원을 받습니다.
신청 방법
주민센터 또는 "가족센터"(Family Center)를 통해 신청합니다.
https://www.familynet.or.kr/web/index.do
가족센터
www.familynet.or.kr
연락처
육아지원담당관: 02-2133-4812
3. 틈새보육 SOS서비스 (긴급보육서비스)
1. 365 열린 보육 (365 열린 보육)
대상
취학 전 아동 및 긴급보육이 필요한 생후 6개월부터 6세까지의 모든 아동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내용
● 연장 돌봄, 야간 돌봄, 식사서비스 제공
● 1년 365일 이용 가능하며, 다양한 시간대의 보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수수료
● 일부 서비스는 무료이며, 다른 서비스는 시간당 요금이 있습니다.
신청 방법
"서울보육포털"(서울어린이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https://iseoul.seoul.go.kr/portal/mainCall.do
연락처
육아지원담당관: 02-2133-5116
2. 등하원전담 아이 돌봄 지원 (방과 후 지원)
대상
3개월에서 12세 사이의 어린이 중 학교 준비 및 방과 후 보육에 도움이 필요한 경우 해당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 내용
● 학교 준비, 학교 동행 및 관련 서비스 지원
수수료
● 기본 요금제: 11,080원
● 종합 플랜: 14,400원
● 저소득 가정은 정부 지원을 받습니다.
신청 방법
주민센터 또는 "가족센터"(Family Center)를 통해 신청합니다.
https://www.familynet.or.kr/web/index.do
가족센터
www.familynet.or.kr
연락처
육아지원담당관: 02-2133-4812
4. 공보육·초등돌봄시설 확충 (공공보육 및 초등방과 후시설 확충)
1. 서울형 아이 돌봄비 지원 (서울시 보육비 지원) 프로그램 개요
앞서 소개한 '서울형 아이 돌봄비 지원' 프로그램은 맞벌이 가정, 한부모 가정, 장애부모 가정 등 육아 공백을 겪는 서울 거주 가정을 대상으로 도움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대상 및 소득 자격
생후 24~36개월의 영유아를 양육하는 가정을 대상으로 합니다. 중위 소득이 표준 소득 컷오프의 최대 150%인 가정이 지원 대상 자격을 갖습니다.
지원 내용
● 조부모 및 친척 포함한 양육자 지원
● 정부 인가 기관의 민간 보육 서비스 재정
● 지원 지원 금액은 영유아의 수와 양육 시간에 따라 상이하며, 정식 보육을 이용하는 가정은 중복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지원 절차
가족은 "몽땅 정보만능키" 포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로는 보육 서비스에 대한 사회 보장 혜택 결정 통지, 조부모나 친척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가족관계증명서, 양육비 지원을 받기 위한 은행계좌 정보가 필요합니다.
시행 예정일
이 프로그램은 2023년 9월에 착공할 예정입니다.
연락처
육하지원담당관: 아지원담당관: 02-2133-4812,4808
서울시의 안심돌봄 프로그램은 육아에 어려움을 겪는 가정들에게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아이들의 안전과 편안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며, 더 나은 육아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서울안심보육프로그램을 통해 가정들이 안심하고 아이들을 키울 수 있는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잡다한 주제 > 지원금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 에너지 캐시백 신청 방법 및 지급 기준 총정리 (0) | 2023.08.18 |
---|---|
2023년 전국민 일상지원금 신청방법 및 자격조건 총정리 (0) | 2023.08.17 |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방법 및 지급일 총정리 (0) | 2023.08.15 |
경기도 청소년 교통지원 사업 신청 기간 및 지급일 총정리 (0) | 2023.08.14 |
2023년 8월 최신)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 자격·신청 방법·지급일· 총정리 알아보기 (0) | 2023.08.13 |